Music Composing/How To:

1-3. Logic Pro X Fundamentals (3)

Esperanza:V 2023. 6. 8. 00:33

1. Bounce

Bounce: Logic Pro에서 작업한 결과물들을 Audio로 변환하기까지 필요한 연산

Bounce의 옵션으로는:

Regions in Place : Region을 하나의 오디오로
Tracks in Place : 선택된 Region들을 각 트랙별 오디오로
Replace all Tracks : 모든 Track에 대해서 트랙 별 오디오로 치환 후 교체
Project or Selection Bounce : 전체 프로젝트, 혹은 특정 구간을 '하나의 오디오'로 치환

가 있다.

이때, 파일에 오디오 전환 포함 옵션을 켜는 것을 권장한다. MIDI의 경우 리전이 끝나도 잔향과 같은 효과들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.

2. Bounce with Drums

Drum의 경우 다양한 악기들이 존재하는데, 만약 이를 하나로 Bounce를 시킬 경우 각 악기마다 따로 믹싱을 하기가 정말 어려워진다. 따라서 Multi-Bounce를 위해 3가지 트릭을 사용한다.

Seperate MIDI Event, Step Editor & Drum Map, Rename Tracks

우선, 여러 개로 나누어진 한 트랙의 리전에 대해 Command + J를 눌러 리전을 하나로 결합한다.

그 다음 편집 - MIDI 이벤트 분리 - 노트 피치로 분리 를 통해 각 피치 (Percussion이므로 악기가 될 것이다)에 따른 트랙으로 분리한다.

이후 Bounce를 할 때에 Regions in Place 혹은 Tracks in Place를 하여 Bounce를 할 수 있다.
단, Tracks in Plac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랙 분할 전 가상악기 플러그인 상에서 Mutli-Output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.

+ 그 외에도 로직 프로젝트를 오디오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Export와 Side-Channeling을 이용한 Internal Recording 등이 존재함.

Export와 Bounce의 차이점은 Export는 바운스와는 다르게 모든 Process (Eq, ...)등을 bypass하고 바로 오디오화시킨다.

3. Marker & Zoom

다음과 같이 만들어낸 Marker들은 NumPAD + 숫자 조합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, 오른쪽의 프로젝트 리스트를 통해서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.

 

로직 프로 X 기초 가이드 강좌 ( 7-3 ) : 내부 레코딩 ( Logic Pro X Basic Guide ( 7-3 ) : Internal Recording ) - 33

오늘 올리는 강좌는 33.10번째 강좌편으로 Logic Pro X Basic Guide ( 7-3 ) ( 로직 프로 X 기초 가이드 7-3 ) 입니다. ^^ 로직 프로 X 기초 가이드 ( 7-3 ) : 내부 레코딩 ( Logic Pro X Basic Guide ( 7-3 ) : Internal Recording

thenotemusic.tistory.com